News

News

국내 로봇 청소기 시장, 2021년 대비 41% 성장


 

GfK 결과 발표, 가전 시장 위축에도 2022년 로봇 청소기 시장 2900억 원 규모로 확대

 

100만 원 이상 프리미엄 제품 판매 141% 증가

지난해 국내 로봇 청소기 시장은 인플레이션에 따른 소비 위축에도 불구하고 2021년 대비 41%라는 높은 성장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마켓 인텔리전스 기업 GfK에 따르면 높은 편의성으로 시장을 꾸준히 확장하며 2021년 2100억 원 규모를 기록했던 국내 로봇 청소기 시장은 2022년 그 규모를 더 키워 2900억 원 규모의 시장으로 성장했다. 기존 청소기 제품이 제공하지 못했던 자동 기능들로 소비자의 높은 호응을 얻으며 시장을 빠르게 확대해가는 모양새다.

2022년의 특징적 부분은 바로 하이엔드 제품의 출시 확대와 판매 호조다. 로봇 청소기 제품 시장이 점점 성숙해지면서 제조사들은 기존 로봇 청소기와 차별화되고 업그레이드된 기능들을 계속 선보이고 있는데 특히, 2022년에는 자동 걸레 세척과 건조 기능 등 편의성을 더 높이고 센서 업그레이드를 통해 효율적으로 공간을 청소할 수 있는 하이엔드 제품의 출시가 두드러졌다. 기본적인 기능의 로봇 청소기보다 많게는 2배 이상 비싼 제품들임에도 청소에 걸리는 시간과 노동에서 더 자유로워질 수 있도록 하는 하이엔드 기능을 원하는 소비자층은 더 확대되며 높은 판매 성장을 보였다. 2022년 100만 원 미만의 제품의 판매 수량은 3% 감소했지만 100만 원 이상 프리미엄 제품의 판매는 141% 증가하며 로봇 청소기 시장의 성장을 이끌었다.

뛰어난 기능과 편의성으로 소비자층을 확대해나가고 있는 로봇 청소기 덕분에 청소기 시장에서의 변화도 감지되고 있다. 서브 제품으로 여겨지며 2019년 청소기 시장 내에서의 매출 비중이 9%에 머물렀던 로봇 청소기의 점유율은 2022년 22%로 증가하며 13%p 상승한 반면, 청소기 시장에서 주류인 핸드 스틱 청소기는 2019년보다 10%p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로봇 청소기 활용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과 청소기 시장에서 위상이 점차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GfK 김도훈 연구원은 “로봇 청소기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이 긍정적인 부분으로 확대되고, 핸드 스틱 청소기 대신 로봇 청소기를 선택하는 소비자들도 증가하고 있다”며 “사물 인터넷(IoT) 기술 및 인공기능(AI) 기술과 융합해 소비자들에게 편리성과 만족스러운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는 제품들이 계속 출시되고 있는 만큼 2023년에도 로봇 청소기 시장은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고 말했다.

 

차세대 ‘LDS’ 센서로 뛰어난 맵핑 기능 구현, 물걸레 기능 업그레이드

로봇청소기 설계의 가장 핵심은 ‘청소 알고리즘’ 기술이다. 빠지는 곳 없이 정확하게 집안 구석구석을 청소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로봇청소기가 인식하도록 하는 것이 관건이다. 최신의 로봇청소기가 과거 제품과 다른 점은 이 알고리즘을 실현함에 있어 보다 발전된 ‘센서’가 탑재됨으로써 가능해졌다. 

구세대 센서인 ‘자이로스코프’ 센서는 방향의 측정 또는 유지에 사용되는 기구로 처음 정해진 경로로만 움직이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장애물을 인식하거나 피하지는 못한다. 반면, 라이다(Lidar) 센서라고도 불리는 ‘LDS(Laser Distance Sensor)’ 센서는 자율주행차에 탑재되는 센서로 레이저를 이용해 360도 고속으로 청소공간을 스캔하여 벽이나 장애물에 반사되는 시간으로 거리를 측정한다. 

또한, 물건을 인식하는 반응성 인공지능(Reactive AI) 카메라는 공간 곳곳을 확인해 청소에 방해가 되는 애완동물, 배변, 장난감, 멀티탭, 스탠드 등의 위치와 크기를 파악해 맵핑에 표시를 한다. 스마트 앱 기능도 사용상의 편리성을 높인다. 스마트폰 앱을 연동해 로봇청소기가 완성한 지도에 편집기능으로 방을 나누고, 분할함은 물론 진입금지 영역과 가상장벽도 세울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소비자들이 로봇청소기 기능 중 가장 큰 관심을 보이는 물걸레 기능이 한층 업그레이드되었다. 지난해 초 출시된 물걸레 로봇청소기 제품만 해도 사람이 직접 물걸레를 탈착하고 세척해야 했던 반면, 최근 출시된 프리미엄급 로봇청소기는 먼지 흡입과 물걸레를 동시 진행하면서 청소 중간 중간 스스로 ‘청소기 집’이라 할 수 있는 도킹스테이션으로 돌아가 물걸레를 세척하고 청소가 끝나면 세척과 열풍건조까지 실행한다. 여기에 먼지통 자동 비움 기능으로 스테이션 내부에 더스트백에 먼지가 자동으로 흡입되어 사용자는 1~2달에 한 번 더스트백만 교체하도록 설계되어 편리함이 배가되었다. 

 

 

 


 

 


▲ ‘로보락 S7 맥스V 울트라(MaxV Ultra)’  엠티워시필도크는 먼지통 비움, 자동 물걸레 세척, 도크 내부 청소 등 본체 유지관리 기능을 갖췄다. 기기에 달린 세척 브러시를 좌우 양방향으로 움직여 로봇청소기에 부착된 물걸레 패드를 세척한다. 열풍건조 모듈은 물걸레 세척이 끝나면 26개 구멍을 통해 45도 뜨거운 공기를 자동으로 내뿜는다. 또한 위치 센서, 적외선 센서, 온도 조절 장치 등을 장착해 사용자 안전성을 높였다. 

 

 

▲ 에코백스 ‘X1 옴니’  최신형 dToF 센서와 인공지능 카메라 센서가 내장되어 있어 실내 구조를 신속하게 매핑하며 작은 소형 물체의 위치까지 정확하게 파악하여 불필요한 충돌을 최소화하였다. 충전과 먼지통 자동 비움, 물걸레 세척, 열풍 건조, 물통 자동 급수 기능이 모두 담긴 듀얼스테이션이 함께 구성되어 있으며, 로봇청소기가 청소를 마친 후 스테이션으로 돌아갈 시 자동으로 오염된 걸레 패드를 세척 및 건조한다.

 


▲ 샤오미 ‘라이드스토 W2 풀오토 로봇청소기’  오토크리닝 기능이 탑재된 신제품으로 샤오미 10세대 모델이다. 진공 흡입 청소와 물걸레 청소 기능뿐만 아니라, 물걸레 세척 후 오수는 전용 폐수통으로 자동 오수회수 성능까지 탑재되었다. 50도 오토 패드 클리닝시스템으로 청소 중 수시로 50도의 온수로 오염과 찌든 때를 세척해준다. 또한 60도의 고온 열풍 건조로 2시간 이내 건조한다. 

 

 

▲ 엠지텍 ‘트윈보스 S9 프로’  자율주행, 드론 등에 사용되는 dToF3.0 센서와 LDS 센서가 적용된 트윈보스 S9 프로는 실내공간의 동선을 최적화하여 청소를 진행한다. 4in1으로 설계된 먼지통은 최대 3000pa 흡입력을 가진 BLDC 모터와 결합되어 진공청소, 물걸레청소를 별도로 혹은 같이 진행할 수 있다. H14 등급의 헤파필터가 내장되어 청소 중 발생할 수 있는 초미세먼지까지도 필터링 해준다. 

 

 

▲ 아이리버 ‘에이클(AICLE)’  자동 먼지 비움 기능의 탑재 여부에 따라 클린스테이션 INS-100과 도킹스테이션 INR-100 두 가지 모델로 구성되어 있다. 에이클에 탑재된 BLDC 모터는 최대 2700Pa의 흡입력을 자랑하며, H14 등급 HEPA 필터를 탑재했다. 250㎖ 용량의 물탱크로 최대 70분 동안 사용할 수 있으며, 물걸레 Y모드 설계로 사각지대 없이 청소가 가능하다. 


 

첨부파일 로봇청소기1.jpg